[서울=뉴스핌] 박성준 김태훈 기자 = '3고 악재'가 덮쳤다. 고물가와 고금리, 고환율로 우리 경제는 복합위기를 겪고 있다. 대부분 대외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지만,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국민의힘 물가 및 민생안전 특별위원회 위원인 박수영 의원은 지난 21일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세금뿐만 아니라 각종 규제, 강성 노조, 임금에 대해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세제 개편만으로 기업과 일자리가 살아나고 경제가 성장한다고 보기는 매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현재 경제 위기는 한 가지 문제가 아니라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했다는 것이다.
![]() |
[서울=뉴스핌] 최상수 기자 =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뉴스핌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2.07.21 kilroy023@newspim.com |
그는 규제와 노동조합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박 의원은 "노조부터 얘기하자면 지금 대우조선해양 논란처럼 7조가량 적자 보는 회사에서 임금을 더 올려 달라고 하는 게 말이 안 된다"며 "국민 혈세가 들어간 기업에서 흑자를 보는 것도 아니고 적자가 큰데 임금을 더 올려달라고 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박 의원은 "기업들이 한국에 투자를 안 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노조가 무섭기 때문"이라며 "채용을 안 하고 야근이 많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새로운 인력이 와서 노조를 설립하면 골치 아프니 기존에 있는 인력을 더 오래 일하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규제에 대해서도 지적을 이어갔다. 그는 "대기업은 대기업대로 공정거래법 규제가 있고 벤처는 벤처기업대로 해보려고 하면 이번에는 법이 없어서 안 된다고 한다"고 했다.
공정거래법은 기업가의 지위가 남용되거나 경제력 과도하게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정 거래 행위나 부당한 공동 행위를 규제하도록 규정한 법률이다. 정식 명칭은 '독점 규제 및 공정 거래에 관한 법률'이다.
"어떤 대기업이든 불법을 저지르면 기업 운영에 큰 타격이 올 정도로 징벌적 페널티를 가하면 되는 일이에요. 그런데 지금은 규제가 복잡하게 돼 있어 꼼짝을 못 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법 읽어보시면 머리가 아파요. 규제가 너무 복잡하고 종류도 다양하게 있어서 아무것도 못 하게 돼 있어요."
그는 더 담대한 개혁안을 국회에 내놓고 국민을 꾸준히 설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 연설을 보면 세수 감소에 반대하고 있는데, 개혁안이 민주당의 반대로 통과가 안 되는 모습을 국민께 보여드려야 한다"면서 "그렇게까지 해서라도 국민 생활을 편하게 해드릴 수 있도록 설득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
[서울=뉴스핌] 최상수 기자 =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뉴스핌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2.07.21 kilroy023@newspim.com |
그는 최근 물가와 유가 등이 급증하고 있는 원인은 크게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라고 분석했다. 박 의원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같은 대외 변수에 의한 원자잿값 상승은 우리가 컨트롤할 규모가 아니다"라며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써도 손쓸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인건비 부분은 우리가 잘못했다고 생각한다. 정부에서 최저임금을 9620원으로 5%가량 인상했다"며 "이건 노동부에서 잘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거시경제 흐름을 보지 못하고 노동계의 주장과 경영계의 이견을 조율해 최저임금을 정했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이번 최저임금은 동결했어야 한다. 물론 상황이 어렵긴 하지만 임금인상 등으로 물가가 올라가면 월급 올라가는 게 아무 의미도 없게 된다"며 "대통령과 국회의원, 장관들 세비 30% 반납 이야기도 나오는데, 우리 인건비라도 잡자는 차원에서 나오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노·사·정위원회의 방식으로 최저임금으로 결정하는 나라가 남미 국가들"이라며 "사회주의 국가가 많은 남미 국가들이 그렇게 하고 있는데 우리가 따라갈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최저임금 결정을 최저임금 위원회 같은 노·사·정합의체로 하는 것보다 노동부 장관이 책임 있게 결정해야 한다. 그래야 이런 변화의 시기에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parksj@newspim.com
강남을
강동갑
강동을
강북을
강서갑
강서을
관악갑
구로갑
구로을
노원갑
노원을
도봉갑
도봉을
동대문갑
동대문을
동작갑
동작을
마포갑
마포을
서대문갑
서대문을
서초을
송파병
송파을
영등포갑
영등포을
용산
은평갑
종로
중·성동갑
중랑갑
중랑을
중성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