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탄핵은 상수다. 조기 대선에서 조국혁신당도 일단 후보는 내야 한다. 좋은 후보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지난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한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조기 대선을 전제로 한 준비 과정 등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황 원내대표는 "현재 지지율 상승 요인이 마땅치 않다"면서도 "내년 6월 지방선거가 상승 요인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조국 전 대표의 부재가 혁신당의 존재감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다고도 짚었다.
황 원내대표는 검찰 독재 조기 종식을 목표로 창당된 당인 만큼 해당 의제로 더 선명하게 당을 이끌어나가겠다고 자부했다. 아울러 '연합정치'를 통해 양당제를 벗어나는 것이 진정한 정치개혁이라고 강조했다.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뉴스핌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01.22 pangbin@newspim.com |
다음은 황 원내대표와의 일문일답.
-저조한 지지율 타개 복안이 있나.
▲우리 당 지지율이 제일 높았을 때가 한 14%. 지난 재보궐 선거에서 패하고 난 이후 7%까지 내려왔다. 지금은 4~5% 전후로 머물고 있다. 최저점으로 보고 있다. 상승 요인이 사실 마땅치 않다. 조국 대표가 메인 스피커였는데, 스피커가 없으니까 그만큼 존재감이 떨어진 것이다.
내년 6월 지방선거가 (지지율) 상승 요인이다. 그 사이엔 마땅치 않을 것이다. 지선 앞두고, 인재 영입을 해서 후보를 낼 거다. 그 과정에서 풀뿌리 조직이 생긴다. 풀뿌리 조직이 없기 때문에 지지율이 안 나오는 이유도 크다.
민주당은 여성위원회, 노인위원회, 청년위원회 등 위원회 조직이 한 20명씩은 된다. 15개만 해도 한 300명이다. 해당 지역에 한 300명이 민주당을 지지할 수밖에 없다. 그 사람들은 대부분 정치 고관여층들이기 때문에 여론조사를 끝까지 듣는다. (혁신당도) 그런 걸 키워나가야 되는 거다.
-검찰개혁은 계속 추진해 나가나. 당 색깔에 대한 고민은.
▲우리 당은 창당할 때 검찰 독재를 조기 종식시키겠다고 하면서 창당을 했고 거기에 맞춰 공약도 내놨다. 그것은 그냥 쭉 간다.
이후 당 색깔은 사회·경제 정책에서는 민주당보다 왼쪽에 가 있을 거다. 그건 더 진보적인 가치와 진보 성향이다.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당의 정체성을 조금 더 선명하게 드러낼 거다. 예컨대 금투세, 상속세, 종부세 등에서 부자 감세에 반대하고 중산층 서민들을 두텁게 보호하는 정책으로 가는 거다.
-소수 정당 사이에서 '연합 정치'라는 말이 나온다.
▲소수자의 목소리, 약자의 목소리 등 다양성이 존중받는 정치를 위해서 다당제를 추구해야 한다. 즉 연합 정치를 추구한다. 다당제는 정치의 복원을 의미한다. 지금은 양대 정당이 극단적인 대결만 한다. 무조건적인 비판보다는 선대적으로 비판하고 그리고 대화와 타협을 중시하는 연합 정치를 목표로 한다. 이것이 좀 민주당과 차별화된 정치 색깔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요즘도 야당 원내대표들끼리 모이나.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자는 그런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모였었는데, 공동교섭단체 가능성이 없어지면서 특별히 그 모임을 이어갈 동력이 사라졌다.
사안별로 모임을 가져야 되지 않을까. 김민전,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들에 대해서 제명을 하자, 징계를 하자 이랬는데 사실은 윤리특위가 구성이 안 됐다. 민주당이나 국민의힘이 소극적이기 때문에 구성이 안 된 것 같다. 소수 정당들끼리 윤리특위 구성을 촉구하는 그런 데서 공동 행동을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조국 전 대표는 옥중 정치를 계속하는 건가.
▲현재 조 전 대표는 황현선 사무총장한테 편지를 보내서 본인이 하고 싶은 얘기를 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 당무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굉장히 꺼려하고 안 하고 싶어 한다.
대신 당원들이나 일반 시민들에게 하고 싶은 메시지는 있을 거다. 본인이 정치 일선에 복귀하겠다고 계속 얘기하고 있지 않나. 구치소에 수감될 때도 난 적어도 향후 10년 이상은 정치를 할 것이다라고 했다. 정치인이니까 교도소에 들어가 있다 하더라도 정치인인 거 아니겠나.
-최근 '개헌' 언급했는데, 탄핵 정국에서 꺼낸 이유는 뭔가.
▲탄핵을 상수로 보는 거다. 조기 대선이 가능한 상황에서 우리가 정치에서 풀어야 할 가장 시급하고 큰 개혁 과제는 개헌이라는 데 다들 공감할 거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이번 대선과 동시에 개헌이 이루어지면 제일 좋겠지만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본다. 민주당이 동의를 안 해 주지 않겠나.
이번 대통령 선거는 지금 헌법 체제로 뽑고, 이번에 뽑힌 대통령이 개헌을 한다는 약속을 하고, 내년 지선과 동시에 개헌 투표를 하는 것이 가장 현실성 있는 거다. 대통령이 되고 나면 각서를 써도 안 하려고 한다. 내년에 지선 때 개헌하는 게 바람직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개헌 얘기가 나와야 한다.
-혁신당 차원에서의 민생 입법은.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관심이 없으면 법안 처리도 안 되고 안건 상정조차 안 된다. 현실적으로 민주당이 민생 입법을 좀 잘 챙겨주길 바란다. 민주당이 내놓은 여러 민생 입법은 기본적으로 조국혁신당은 다 지지한다.
민생 회복을 위한 시급한 과제가 추경이라고 생각한다. 정부도 이제 추경 얘기를 했다.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빨리 여야 합의를 좀 합의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빨리 추경을 편성하는 것이 지금 민생 회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다.
-대선 후보 물색은 하고 있나.
▲일단 후보는 내야 한다. 후보를 내야 하는 이유를 혁신당이 잘 알려야 한다. 결선투표제를 도입을 해야 한다, 교섭단체를 완화해야 한다는 등의 정치개혁 과제들은 민주당 후보가 얘기하기 좀 어려운 과제들일 수 있다. 좋은 후보를 찾기 위해서 많이 노력을 하고 있다.
ycy1486@newspim.com
강남을
강동갑
강동을
강북을
강서갑
강서을
관악갑
구로갑
구로을
노원갑
노원을
도봉갑
도봉을
동대문갑
동대문을
동작갑
동작을
마포갑
마포을
서대문갑
서대문을
서초을
송파병
송파을
영등포갑
영등포을
용산
은평갑
종로
중·성동갑
중랑갑
중랑을
중성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