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서영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4·10 총선 공식 선거 운동을 하루 앞둔 27일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공약을 발표했다. 또 여의도 기존 부지를 활용해 서울을 금융·문화 중심지로 개발하겠다고 약속했다.
한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으로 여의도 정치를 종식하고 국회의사당을 시민들에게 돌려드리겠다"고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24일 오전 겸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03.24 pangbin@newspim.com |
앞서 국회는 지난해 10월 상임위원회 12개를 세종으로 이전하는 내용 등이 담긴 '국회세종의사당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칙안'을 통과시켰다. 예산정책처와 국회입법조사처도 이전하기로 했지만 본회의장, 국회의장실 등 국회 주요 권한과 대외적 상징 기능이 있는 장소는 현 국회의사당에 잔류하기로 했던 바다.
국민의힘은 이를 모두 세종으로 이전하겠다는 방침이다. 한 위원장은 "국민의힘은 분절된 국회가 아니라 완전한 국회를 세종으로 이전해서 정치수도로 완성하고, 기존의 국회 공간을 문화금융의 중심으로 바꿔서 동료시민들께 돌려드릴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여의도 국회의사당과 그 부지는 서울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서울시와 협의해서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면서 "예를 들면 의사당 건물의 역사적 상징성을 담아내 원형을 유지하면서 프랑스 오르세 미술관, 영국 케이트모던 같은 세계적 전시공간으로 만들어 시민들이 맘껏 활용할 수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속해서 "한강과 여의도공원을 연계하며 공연장, 교육시설, 체육시설 포함한 복합 문화공간으로 탈바꿈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어디서든 쉽게 와서 활용할 수 있는 진정한 문화와 휴식공간으로 탄생하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여의도와 인접한 마포, 영등포, 동작, 양천, 용산 등에서도 연쇄적으로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서 함께 적극적으로 개발하겠다. 결국 국회의 세종 완전 이전은 서울 개발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했다.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대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동문회관에서 열린 서울 현장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4.03.25 pangbin@newspim.com |
다만, 이같은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공약은 지난 서울시장 선거를 포함해 매 총선마다 등장했던 단골 공약이다.
이와 관련한 기자 질의에 한 위원장은 "결국 약속한 사람을 믿을 수 있느냐의 문제"라며 "지금까지 저희가 얘기해서 약속 지키지 않은 거 있는가. (세종 이전은) 상징하는 바도 대단히 크다. 여의도 정치가 끝나는 거고 단순히 지리적 위치만 달라지는 게 아니라 정치를 새롭게 출발하는 계기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지난 서울시장 선거 당시 나경원·안철수 공동선대위원장이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을 반대했던 것을 두고 한 위원장은 "인생 알겠는가. 저희는 이 정책이 서로 간 이해관계 문제가 아니라 그냥 이 정책을 평가해주시길 바란다. 국회가 이중으로 나뉘고 규제는 규제대로 남아있고 세종은 이름만 행정수도인 이런 체제로 갈 것인가, 아니면 총선이란 정치적 에너지가 집약되는 순간에 국민들 총의가 모아져서 달성할 것인가의 문제"라고 힘줘 말했다.
구체적인 로드맵에 대해선 "이미 세종에는 준비된 큰 부지 있다. 여기 몇 개 남겨두기로 한 것들이 그곳으로 가는 건 큰 비용이 들지 않는다. 공사 예정은 잡혀있기 때문에 그 일정에 맞출 수 있을 것이다"라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과의 합의 문제와 관련해 한 위원장은 "선거가 14일밖에 안 남았으니 합의를 이룰지 모르겠다. 결국 국민 선택이다. 이 문제 관해 여러 가지 논의가 있고 민주당의 답이 나오올 것이다. 저희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당에서 답할 문제"라고 했다.
seo00@newspim.com
강남을
강동갑
강동을
강북을
강서갑
강서을
관악갑
구로갑
구로을
노원갑
노원을
도봉갑
도봉을
동대문갑
동대문을
동작갑
동작을
마포갑
마포을
서대문갑
서대문을
서초을
송파병
송파을
영등포갑
영등포을
용산
은평갑
종로
중·성동갑
중랑갑
중랑을
중성동을